• 문화재단이프
  • 이프북스
  • 대표 유숙열
  • 사업자번호 782-63-00276
  • 서울 은평구 연서로71
  • 살림이5층
  • 팩스fax : 02-3157-1508
  • E-mail :
  • ifbooks@naver.com
  • Copy Right ifbooks
  • All Right Reserved
  • HOME > IF NEWS > 여성신화
  • 이난나
    이프 / 2013-09-03 04:53:19
  •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화는 수메르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고대 수메르의 땅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충적 평야와 일치하며, 오늘날에는 이라크 남부 영토에 포함되어 있다.

    수메르가 특히 중요한 이유는 구약과 신약 성서가 수메르의 영향권 속에 있었던 바빌론과 앗시리아 그리고 가나안의 문명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데 있다. 기원전 약 2400년을 기준으로 삼자면 그 이전에는 수메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 있었으며, 그 이후로 북쪽의 셈족의 영향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열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이것은 신들의 세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메소포타미아의 우주 생성 신화

     

    수메르 신화에 나타나는 태초의 우주 상태는 물이고, 모든 것의 근원은 물이다. 수메르인들은 원시 바다가 모든 창조의 근원이라고 생각했다. ‘바다’를 뜻하는 남무(Nammu)는 원래 뱀의 여신으로 그려져 왔다. 우주적인 물로서 남무는 안-키(An-Ki), 즉 하늘과 땅을 낳는다. 안-키는 한 몸으로 존재하면서 엔릴(Enlil), 즉 대기를 낳는다. 그런데 엔릴(대기)은 자신의 부모를 분리시켜 어머니 키(땅)를 자신의 아내로 삼는다. 엔릴과 키의 결합으로부터 모든 신들이 나온다.

    다시 말하자면 태초에는 물로부터 하늘과 땅이 결합된 채로 나오나, 공기가 태어나면서 하늘과 땅이 갈라진다는 것이다.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공기가 하늘을 대신하여 다시 땅과 결합하여 모든 신들이 나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엔릴이 자신의 어머니 키와 결합하여 모든 것을 낳는다는 이야기를 통해 영원한 생명의 원천으로서 위대한 어머니 여신과 아들-연인의 전형적인 형태를 엿볼 수 있다.

     

    여기서 땅의 여신  키는 나중에 닌후르쌍(Ninhursag)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키는 수메르 신전에서 더 이상 엔릴의 아내로 숭배 받지 않고, 엔릴의 ‘누이’로 인식되며, 땅의 여신으로서 키의 역할도 엔릴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은 위대한 어머니 여신의 신화가 퇴색되며 무대의 한켠으로 물러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준다. 닌후르쌍은 신석기로부터 청동기까지 주요한 여신의 이미지로 등장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키-닌후르쌍은 ‘모든 살아 있는 것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모든 신과 인간의 어머니이며, 모든 동물들의 어머니이다. 고대의 위대한 여신들과 마찬가지로 ‘땅’의 여신은 우주 생성 신화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키-닌후르쌍 이미지는 나중에 이난나(Inanna)와 겹쳐지게 된다. 이난나는 위대한 어머니 여신으로서 키-닌후르쌍의 역할의 많은 측면들을 공유하고 있다. 이난나는 이슈타르(Ishtar)와 동일한 인물이다. 이 여신은 남쪽에서는 이난나라는 수메르 이름으로 불렸고, 북쪽에서는 이슈타르라는 셈족의 이름으로 불렸다. 이난나는 땅뿐만 아니라 하늘까지 지배하는 것으로 나온다. ‘하늘과 땅의 여신’으로서 이난나는 생명이자 죽음 자체인 신석기 대모신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하늘의 여왕으로서의 이난나

    하늘의 여왕으로서의 이난나는 먼저 달의 여신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이난나의 탄생 신화를 통해서도 분명하다. 공기의 신 엔릴은 두 번째로 ‘공기의 여신’을 의미하는 닌릴(Nirlil)과 결합하여 달의 신 난나(Nnana)를 낳는다. 난나는 달의 여신인 닌갈(Ningal)과 결합하여 ‘달의 여왕’을 의미하는 이난나(Inanna)와 태양신 우투(Utu)를 낳는다. 달의 여신인 이난나는 달이 찼을 때 생명을 주고 달이 기울었을 때 생명을 회수해 간다. 또한 이난나는 금성을 가리키며, 샛별과 저녁 별로 육화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난나에 관한 모든 신화들은 달과 관련된 단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녀가 빛과 어둠을 지배하고 뿔 달린 머리 장식물을 쓰고 뱀 지팡이를 쥐고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매년 지하세계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아들이자 연인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그녀가 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뿔과 뱀, 아들-연인은 모두 죽음과 재탄생과 관련된 달의 순환적 주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령 들소 뿔은 사라졌다가 다시 뜨는 초생달을 상징하고, 뱀은 허물을 벗고 다시 태어나는 것을 상징하며, 아들-연인도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는 주기를 반복한다.

     

    이난나는 밝고 생산적인 측면 외에 어둡고 파괴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그것은 폭풍의 여신과 전쟁의 여신의 이미지에 잘 드러난다. 그녀는 생명을 주고 키우는 힘뿐만 아니라 예측 불허의 혼돈스럽고 파괴적인 자연의 힘과도 동일시되었다. 폭풍의 여신으로서 이난나는 용의 이미지로 나타나는데 인간이 몇 달 동안이나 애써 일구어 놓은 농작물을 망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마저도 빼앗아 가는 잔인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청동기 시대에 전쟁이 많아지면서 이난나는 전쟁의 여신으로 나타난다. 전쟁의 여신으로서 이난나는 용과 사자의 이미지로 죽음과 공포를 가져다 주었다. 그녀는 전쟁의 수호자로서 후대 다른 문화의 여신들에게도 이러한 특징이 전해진다.  

     

                                                        ▲올빼미, 사자와 함께 있는 이난나. BC 2,300-2,000 
      

    땅의 여왕으로서의 이난나

     

    이난나는 하늘의 여왕으로서만이 아니라 땅의 여왕으로서도 나타난다. 땅의 여왕으로서 이난나는 우선 식물의 여신으로 나타난다. 그녀는 곡물, 포도, 대추 야자수, 삼나무, 무화과, 올리브, 사과나무 등의 여신이다. 그래서 여신의 사원에는 여신이 생명을 주는 힘이라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 이러한 나무들 가운데 하나가 심어져 있다.

    또한 이난나는 동물들의 여신으로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에는 주로 사자와 소, 비둘기, 참새의 이미지가 사용되지만 때로는 지하세계와 관련하여 생명을 빼앗는 독사와 전갈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녀는 논과 밭에서 자라나는 모든 것과 과일 나무로부터 수확한 모든 것을 지배하였다. 그것들은 바로 여신의 몸이었다. 따라서 그녀가 생산한 모든 것은 신성하였다.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식물과 동물 그리고 인간의 생명으로서 나타난 여신의 생명이었다.

     

    이난나의 다산성은 위대한 어머니의 여신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난나는 자신의 배우자와의 성스러운 결합을 통해 다산과 풍요를 촉진시킨다. 이것은 신전 안에서 여사제가 성스러운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그 곳에 들어온 남자와 성적인 결합을 하여 여신의 창조적 행위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성은 이 세계에 생명을 주는 수단이며 신성한 행위였다. 초기 문화에서 성적 결합은 다산의 마술적 행위이다. 신전에서 의식을 통해 이루어진 성적인 결합에 의해 모든 생명이 탄생한다. 그것은 여신이 불러일으킨 성적 본능으로 말미암아 성전에서 여성과 남성이 여신의 생산력의 수단으로서 자신들을 제공하는 신성한 행위의 표현이다.

     

    **윗 글은 책 『위대한 어머니 여신』(장영란 저, 살림)에서 발췌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
덧글 작성하기 -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

덧글이 없습니다.

목록